
이문우
소논문 및 기고문
- 2023「크리핑X퀴어링—크립 이론과 퀴어 이론의 교차를 사유하기」, 『문학동네』 30권 2호, 문학동네, 152-166쪽.
- 2022
- 「퀴어한 사랑의 봉인과 불행한 퀴어: 〈기담〉을 중심으로」, 『PREVIEW: 디지털영상학술지』 19권 1호, 한국디지털영상학회, 83-104쪽.
- 「워맨스에서 레즈비언 로맨스로 -〈마마〉-〈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〉-〈마인〉에 이르기까지-」, 『한국문학이론과비평』 26권 1호,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, 337-364쪽.
- 2021
- 「소녀 괴물과 퀴어한 신체: 〈경성학교: 사라진 소녀들〉을 중심으로」, 『횡단인문학』 8호, 인문학 연구소, 213-236쪽.
- 「서로의 취약성 속에서 무한히 연결되기를 : 『사이보그가 되다』를 읽고」, 『여성문학연구』 53호, 한국여성문학학회, 500-508쪽.
- 2019
- 「다시 만난 세계, 새로운 민주주의를 위한 노래 - 오혜진(2019), '지극히 문학적인 취향', 오월의 봄」, 『한국여성학』 35권 4호, 한국여성학회, 99-105쪽.
단행본
- 2022「한국퀴어시네마의 새로운 지형과 포스트-퀴어네이션에 대한 상상: 〈위켄즈〉를 중심으로」, 『한국게이영화사』(공저 참여)
- 2021「〈경성학교: 사라진 소녀들〉: 퀴어한 신체, 퀴어한 시공간과 윤리적 가능성」, 『한국레즈비언영화사』(공저 참여)
- 2020「1980년대 한국 퀴어 사회와 영화의 정치적 가능성」, 『한국퀴어영화사』(공저 참여)
학위논문
- 2017「1980년대를 퀴어링하기: 한국영화를 중심으로」,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
활동
- 2023〈워맨스와 레즈비언 로맨스 사이에서〉, 한국레즈비언상담소 〈대중문화를 퀴어링〉 강좌
- 2021
- 〈『한국레즈비언영화사』 대담〉,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 대담
- 〈한국, 레즈비언, 영화를 상상하기〉,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 포럼
- 2019
- 〈한국퀴어영화사 출판기념회〉,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 포럼
- 〈1980년대를 퀴어링하기: 한국영화를 중심으로〉,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제89차 콜로키움